반응형

정원설계 38

조경, 정원공간 이야기 - 남양주 고당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경, 정원공간 이야기 다섯 번째로 소개해드릴 곳은 남양주 카페 고당의 정원입니다. 이곳은 한옥에서 마시는 커피로 알려진 곳입니다. 88칸의 전통 사대부집으로 지어진 한옥과 거기에 어울리는 전통 정원이 있습니다.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121 면적 : 약 600평 (대지면적) 조성 : 2006 가드너 : 이혜정, 김병렬(부부) 고당에 방문하시면, 주차장에 소나무가 식재된 마당을 통과하면 마당을 좌우로 가르는 허리 높이의 담이 있는데 이를 경계로 오른쪽에는 행랑채와 아래에는 정자, 외쪽에는 안채와 별당, 정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넓은 마당은 비워져 있고, 담장 주변으로 식물을 식재하였는데, 담장과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성들의 공간인 안채 뒤에는 화..

정원에 심으면 좋은나무 추천 10 - 산수유나무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원에 심으면 좋은 나무 10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나무는 봄을 알리는 나무인 산수유입니다. 산수유나무는 한국, 중국 등이 원산지이며,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주로 자생하는 나무입니다.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일원, 경상북도 의성군이 특산지입니다. ◆ 산수유의 특성 성상 : 낙엽활엽소교목 학명 : Cornus officinalis 생육분포 : 중부 이남 크기 : 수고는 7m까지 자랍니다. 개화기 : 3 ~ 4월 노란색 산수유는 이른 3월에 노란색 꽃이 피는 나무인데, 잎보다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입니다. 잎보다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를 선화후엽이라고 합니다. 개나리와 비슷한 시기에 꽃이 피기 때문에 개나리와 산수유를 같이 심으면, 봄에 노란색..

식물이야기 2023.03.30

조경, 정원공간 이야기 - 서울숲 오소정원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경, 정원공간 이야기 네 번째로 소개해드릴 곳은 서울숲 오소정원입니다. 서울숲 오소정원은 서울숲공원 입구 주차장 옆의 잡초가 무성한 버려진 땅을 아름답게 정원으로 탈바꿈한 곳입니다. 이곳은 서울숲에서 가드닝 교육을 받은 서울숲 도시정원사 1, 2기 수료생들이 수업의 현장 실습 장소가 되어 다양한 정원들로 채워진 곳입니다. 수입이 끝난 뒤에도 자발적으로 모여 꾸준히 정원을 가꾸고 있습니다. 위치 : 서울 성동구 뚝섬로 273 (서울숲공원 주차장 옆) 면적 : 약 300평 조성 : 2015년 가드너 : 서울숲 도시정원사 "오소" 정원은 한자어로 풀면 나 오(吳), 웃을 소(笑), 즉 "내가 웃는다"라는 의미이고, 편안하게 한국어로 발음하면 오소 ~ 누구나 환영한다는 (Welcome) 뜻..

조경, 정원 시공이야기 - 옥상 텃밭만들기, 도시농업

안녕하세요. 오늘은 옥상 텃밭 만들기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최근 옥상텃밭을 시공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옥상텃밭은 건물의 단열효과를 높여주고, 옥상의 활용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주말농장보다 자주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최근 기업에서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 또한 4년 전에 기업 옥상을 시공한 경험이 있는데, 옥상 녹화를 참여하는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그로 인해 옥상텃밭 프로그램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진행한 옥상텃밭 진행사항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옥상텃밭을 진행하는 과정의 프로세스를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사전에 배치계획 (옥상텃밭 설계 및 제안을 진행)합니다. 2. 옥상텃밭 대상지의 정리작업..

조경, 정원공간 이야기 - 강원 횡성 미술관 자작나무 숲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경, 정원공간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공간은 강원 횡성 미술관 자작나무 숲입니다. 여기는 2004년 강원도 횡성에서 오픈한 미술관입니다. 주인께서는 자작나무를 주로 촬영하는 사진작가 이시면서, 가드너이시기 때문에 정원을 멋스럽고 각각의 테마를 가지고 조성하셨습니다. 위치 : 강원 횡성군 우천면 한우로 두곡 5길 186 면적 : 약 10,000평 (대지면적) 조성 : 1991, 2004 (미술관 오픈) 가드너 : 원종호 미술관 관장님은 백두산 장백폭포 앞의 자작나무에 반해서 고향 땅에 자작나무 묘목 12,000주를 사다 심기 시작했고, 자작나무에 반해서 자작나무 숲을 찍는 사진가가 되셨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미술관 주변 조경에도 자작나무가 많았습니다. 역시 자..

정원에 심으면 좋은 야생화 추천10 - 에키네시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원에 심으면 좋은 에키네시아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에키네시아는 국화과 식물로 여름에 멋진 꽃을 피우는 야생화입니다. 에키네시아 꽃 이름의 어원은 그리스 단어인 "echinos"로 고슴도치 또는 성게의 가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자주천인국, 드린국화, 호랑이 눈꽃이라고도 부릅니다. 호랑이 눈꽃이라는 이름은 꽃이 개화했을 때 호랑이 눈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 에키네시아 성상 : 여러해살이풀. 학명 : Echinacea purpureaa 원산지 : 북아메리 생육가능 : 전국 크기 : 수고는 50~ 100cm 개화기 : 6 ~ 9월 주황, 자주, 노랑, 흰색 에키네시아는 북아메리카원산지인 야생화입니다. 여름에 멋진 꽃을 피우는 야생화로서 다양한 식재로..

정원에 심으면 좋은 야생화 추천10 - 초롱꽃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원에 심으면 좋은 야생화 10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초여름에 꽃이 피는 야생화인 초롱꽃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초롱꽃은 은은하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좋은 야생화로서 한국적인 주택정원에 정말 잘 어울리는 야생화입니다. 꽃이 초롱 모양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어 이름이 초롱꽃이며, 흰색과 연한 자주색 꽃이 핍니다. ◆ 초롱꽃 성상 : 여러해살이풀. 학명 : Campanula punctata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생육가능 : 전국 크기 : 수고는 40 ~ 100cm 개화기 : 6 ~ 8월 흰색, 자주색 초롱꽃은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며, 꽃이 아름다운 식물입니다. 잎은 곰취랑 비슷한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초롱꽃은 배수가 잘..

정원에 심으면 좋은 야생화 추천9 - 꽃잔디

안녕하세요. 오늘은 봄이 꽃이 피면서 정원에 심으면 좋은 식물인 꽃잔디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꽃잔디는 개화기가 길면서, 색상도 정말 다양해서 정원 및 조경공간에 많이 식재하는 식물입니다. 멀리서 보기에는 잔디 같지만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잔디라고 불립니다. 꽃잔디는 꽃이 패랭이와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꽃잔디 성상 : 여러해살이풀. 학명 : Phlox subulata L. 원산지 : 아메리카 원산 생육가능 : 전국 크기 : 수고는 10cm 개화기 : 4 ~ 9월 백색, 자주색, 분홍색, 붉은색 꽃잔디의 개화기는 4 ~ 9월이나, 주로 4월에 개화를 합니다. 생육환경은 건조한 모래땅을 좋아하며, 암석지 및 지피류로서 교목류 하부에도 잘 어울립..

정원에 심으면 좋은식물 추천10 - 홍띠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원에 심으면 좋은 식물 추천 10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식물은 홍띠입니다. 홍띠는 북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잎 끝이 멀리서 봐도 붉은색이라서 정원공간에 많이 식재하는 수종입니다. ◆ 홍띠 성상 : 여러해살이풀 학명 : Imperata cylindrica 생육분포 : 전국 크기 : 길이는 최대 30 ~ 60cm까지 자랍니다. 개화기 : 7 ~ 8월 홍띠는 봄부터 잎 끝이 붉게 물들고, 가을에는 잎 전체가 붉게 물들어 멋진 경관을 연출하는 식물입니다. 노지월동이 가능한 식물로 내한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국 어디서든지 생육이 가능합니다. 또한, 환경적응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디서든지 잘 자라며, 관리요구도가 적어 정원공간에 많이 추천하는..

식물이야기 2023.03.09

정원에 심으면 좋은나무 추천8 - 남천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원에 심으면 좋은 나무 8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나무는 남천입니다. 남천의 꽃말은 전화위복이라는 신기한 뜻이 있는 나무입니다. 상로성 식물로 잎과 열매를 감상하는 나무입니다. ◆ 남천 특성 성상 : 상록활엽관목 학명 : Nandina domestica 생육분포 : 중부이남 크기 : 수고는 1 ~ 3m까지 자랍니다. 개화기 : 6 ~ 7월 흰색 남천은 상록활엽관목의 대표적인 수종으로 우리나라 중부이남지역에서 많이 식재합니다. 서울이나 중부지방에서도 식재하지만, 추위에 다소 약한 수종이라서 중부 및 서울지역에 식재 시에는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 식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천은 내음성과 각종 공해에 강한 수종이라서 정원 및 조경공간에 많이 식재하는 수종입니다. 또한 관목류 중 ..

식물이야기 2023.02.27
반응형